아테네 민주정치의 의의
아테네 판테온
아테네 정치의 핵심은 시민 전체가 최종적인 책임을 진다는 데 있었다. 직접 참여는 아테네 민주정의 관건이었으며, 아테네에는 대의제, 공무원제 또는 관료제가 없었다. 시민의 직접 참여는 민회와 법정 제도에 잘 나타나 있다.
아테네 민주주의가 근대적 민주주의와 다른점은 첫째로 아테네 민주주의는 시민권을 가진 제한된 수의 사람들만을 위한 제도였다. 클레이스테네스 시대에는 시민권을 가진 주민은 소수였다.
정치 참여는 클레이스테네스 시대의 데메스에 등록된 남자시민의 후손에게만 해당되는 것이었다. 부녀자는 폴리스의 정치에 참여할 수 없었다. 다수의 외국인과 노예 역시 제외되었다. B.C. 5세기에 아테네 시민 수는 약 4만 5천이었다.
아티카 지역의 총인구 수가 35만명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되므로 아테네 민주주의는 소수 지배 정치체제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 아테네 민주정치 제도는 대의제가 아닌 직접 민주주의 이념에 입각한 것이다. 실상 아테네인은 대의제 원칙을 모르는 바 아니었으나 5백인회 의원의 선출은 제한적으로 적용한 경우 이외에는 대의제를 적용하지 않았다.
아테네인은 명성과 능력이 있는 사람이 지배하는 것에는 관심이 없었고 오히려 실제 정치에서 모든 '보통' 시민의 확인을 얻는 것을 중요시 하였다. 한마디로 그들의 주요 관심은 통치의 능률보다는 시민의 의사를 존중하는 민주주의에 있었다.
[최씽씽의 역사자료실]아테네 솔론의 개혁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 (0) | 2018.04.11 |
---|---|
[최씽씽의 역사자료실]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 정리 (0) | 2018.04.09 |
[최씽씽의 역사자료실]아테네 민주정치의 발달과정2/솔론 (0) | 2018.04.04 |
[최씽씽의 역사자료실]아테네 민주정치의 발달과정1/귀족정 (0) | 2018.04.03 |
[최씽씽의 역사자료실]절대왕정의 구조-관료제,중상주의,왕권신수설 (0) | 2018.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