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교육철학의 선구적 역할을 담당한 자연주의 교육철학의 대표적인 인물은 Jean Jacques Rousseau(1712-1778)이다.
[Rousseau의 근본사상]
구 분 | 설 명 |
성선설 | 인간의 본래적 성질은 선함 |
아동관 | 아동을 성인의 축소판으로 생각하지 말라 |
교육관 | 식물은 재배에 의해 성장하고 아동은 교육에 의해 인간이 됨 |
대표 저서 | Emile |
Rousseau는 인간의 내면에 잠재되어 있는 자연적인 감정을 중요시하고 인간의 선천적 본성을 사회의 모든 악으로부터 보호하는 자연주의 교육을 강조하여 이를 통한 이상사회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교육을 인간의 내면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내적인 발달로 보며, 학습자의 자연적인 성장을 도와주는 일이고 자연적인 경향성을 억압하는 모든 사회적인 환경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학습자를 보호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교육이론은 소극적 교육이론으로 평가하였다.
※ 에밀의 근본사상
① 모든 것이 창조주의 손으로부터 나올 때는 선하던 것이 인간의 손에서 점점 타락해간다.
② 자유로운 개발 강조, 자유는 자연
③ 개인으로서의 발전
④ 사회인과 대립되는 자연인, 자유인, 개인의 도야 강조
2. 교육목적론
[Rousseau의 교육목적]
교육목적 | 사회속에서의 자연인 양성 |
교육목표 | ․ 개인의 타고난 권리가 유지되는 자연적 상태 ․ 개인의 소박한 취미와 욕구가 보존되는 자연적 상태 ․ 개인의 선천적 욕망과 흥미가 방해되지 않는 자연적 상태 ․ 개인의 자유가 상실되지 않는 자연적 상태 ․ 상류사회의 인위적 학문이 발달되지 않는 자연적 상태 |
Rousseau는 자연, 인간, 사물들의 교육을 통해 학습자의 천부적 능력을 자연적으로 발달시킨 자연인을 형성하려고 하였다.
- 교육에 대한 자연주의적 견해는 교육의 소극적 견해를 지향하는 것이므로 좋은 교육의 본질은 학습자의 자연성과 자주성을 바탕으로 한 교육이다.
- 교육과 인간의 관계를 이원적으로 바라보는 양립된 것이 아니라 일원적으로 바라보는 통합적인 것, 교육은 인간의 완성, 인간성의 실현
- 교육 이론의 구체적인 목적은 개인의 선천적인 선과 덕성을 보존, 선천적인 개인의 권리가 인정되는 사회의 형성
-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원래의 선천적 덕성인 평등, 우애, 소박, 자유가 모든 구성원들에 의하여 실현되어 질 수 있는 사회를 건설
- 자연인의 양성에 교육목적을 둠.
- 교육적 발달의 3요소
① 자연 - 우리의 신체적 기관의 생래적 구조와 그 기능적 활동
② 사람 - 다른 사람들의 영향 밑에서 이러한 기관들의 활동에 대한 사용
③ 사물 - 이러한 기관들의 환경과의 직접적 상호 작용을 의미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에 대한 듀이의 비판
- 지성의 계발이 중요한 것이지 지성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고 봄.
- 학습자들의 선천적 능력을 고려한 점은 전통적 교육보다 새로운 진보적 방향을 제시
- 자연적 발달로서의 교육목적에 대한 소극적 측면을 비판, 보완적 견해로서 사회적 능률로서의 일반적 목적을 제시
루소의 생애
어머니를 잃은 그는 정규 교육도 받지 못한 채 불우한 환경에서 성장했다. 16세부터1712년 6월 28일 Swiss Jeneva에서 가난한 시계공의 아들로 태어나 10일 만에 방랑생활을 시작하였으며 이때 경험한 희비애락이 그의 사상에 근간이 되었다. 방랑 중 1731년 Savoy지방에서 한 신부의 소개로 미망인이자 남작부인인 바랑(Baronne do Warens, 1700~1762)부인 집의 집사로 일하게 되었으며, 그의 재능을 발견한 바랑은 그가 공부할 수 있도록 주선해 주었다. 1733년부터 연인관계가 되어 1740년까지 동거하면서 학문연구를 하였다. 이 시기가 Rousseau이 생애 중 가장 평화롭고 행복한 나날을 보내게 될 뿐만 아니라 아름답고 감미로운 자연 속에서 그의 감수성은 활짝 피어올랐으며, 교양을 위해서 독서에 전념하면서 역사, 지리, 천문학, 음악 등 갖가지 학문에 몰두하기도 하였다. 프랑스로 온 그는 1745년 자신이 묵고 있는 여관 종업원 테레즈와 동거하며 여러 아이를 낳았으나 모두 고아원에 맡겼으며, 56세 때(1768년) 테레즈와 결혼했다.
인간을 교회의 권위나 군주의 권위 등과 같은 후견인의 구속에서 해방시켜 자신의 이성을 자유롭게 스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한다는 것을 주장하는 계몽주의 시대에 태어난 Rousseau는 한편으로는 계몽주의자 일원이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기존의 계몽주의를 배격하는 반계몽주의자이기도 하다.
주요 저술로는 당선과 함께 일약 명사로 출세하게 만든 학술원 현상논문 「학문예술론(1750)」, 「인간불평등기원론(1755)」, 많은 교양 있는 여성들의 사랑을 받게 된 애정소설「新엘로이즈(1731)」, 인간 불평등의 원인과 해결책을 제시한 책으로서 프랑스 대혁명의 불씨가 된 「사회계약론(1762)」, 가톨릭과 개신교에 실망하여 개인 종교를 제시한 종교사상 겸 교육소설인 「에밀(1762)」, 자서전적인「참회록(1775)」, 그의 서정성이 돋보이는 글「고독한 산보자의 꿈(1778)」등이 있다. 그의 주요 사상은 「에밀」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최씽씽의 역사이야기]실존주의 교육의 특징 2 (0) | 2018.03.11 |
---|---|
[최씽씽의 역사이야기]실존주의 교육의 특징 1 (0) | 2018.03.10 |
그라쿠스 형제의 개혁 (0) | 2018.03.05 |
아우구스투스 안토니우스 전쟁 (0) | 2018.02.08 |
아우구스투스(옥타비아누스) 생애 2 (0) | 2018.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