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항로의 발견, 개척 - <동기와 배경>
15세기 신항로 개척, 발견에 대해 정리해 보자. 15세기로부터 16세기에 걸쳐 유럽인들이 새로운 항로와 미지의 나라를찾게 된 동기는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종래 인정되어 온 견해는 오스만 투르크 족이 레반트 방면으로 진출하고,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함으로써(1455) 동방무역로가 폐쇄되고, 동방의 산물에 대하여 무거운 세금이 부과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인데, 오늘날에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콘스탄티노플은 다시 동방무역에 있어 그리 중요한 우치를 차지하고 있지 않았으며, 동방무역로의 종점인 시리아나 알렉산드리아는 16세기에 들어서야 투르크족에게 점령되었기 때문이아. 게다가 15세기를 통하여 동방의 산물은 계속 유럽에 수입되었다.
콜럼버스의 산타마리아 호
일찍이 배경은 기독교권과 이슬람권의 경계에 위치해있었고, 대서양세계와 지중해세계의 경계에 위치해 있었던 포르투갈은 해외 팽창의 선두로 나서게 되었는데, 인도항로의 발견자인 바스코 다 가마는 '그리스도교인과 향료'를 찾으러 항해를 했다고 말한다.
신항로의 발견은 이베리아반도에서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의 성립은 끊임없는 이슬람과의 투쟁이었고 그들의 마음과 몸에는 이슬람에 대한 적개심과 이슬람을 타도하고 그리스도교를 전파하려는 염원이 가득차 있었다. 실제로 포르투갈의 초기 탐사는 상업이윤을 추구하며 아프리카 해안을 따라 남하하는 것과 동시에 모로코의 군사정복을 추진하여 북아프리카 내륙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프레스터 존(사제 요한)이 다스리는 망각된 강력한 그리스도교 국가각 동부 아프리카나 아시아의 어느 곳엔가 존재한다는 전설을 그들에게 있어 큰 관심사였다. 만일 그 국가를 발견하고 동맹을 맺는다면 이슬람 세력을 협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던것이다.
또한 동방과 직접 교역할 길이 열린다면 후추를 비롯한 각종 향신료를 통한 동방무역으로 막대한 경제적 번역을 누리는 있는 이탈리아 도시들 대신 자신들이 그 이익을 독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던 것이다.
각종 향신료
"신항로의 발견은 우리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동기는 일은 홍해나 그 근처 적당한 지역에 요새를 건설하는 일이다. 그렇게 해서 홍해를 봉쇄하면 더 이상 향신료가 맘룩 술탄에게 갈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면 인도의 모든 사람들은 우리 이외의 다른 어느 누구와도 교역하려는 헛된 환상을 품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이곳이 사제 요한의 땅과 가까우므로 두 가지 면에서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하나는 그곳의 기동교도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고, 둘째로 우리의 국고를 늘릴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전쟁을 하고자 할 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Subrahmanyam 1993:66)
또한 동방은 햘료만이 아니라 중국산 견직물과 각종 보석의 산지이기도 하였으며, 마르코 폴로의 여행기에는 중국보다 더 동쪽에 지팡고라는 황금의 나라가 있다고 하여 유럽인들의 호기심을 자극하였다.
대헌장의 성립의 배경을 알아보자 (0) | 2018.05.03 |
---|---|
[최씽씽의 역사자료실] 영국 산업혁명의 결과 (0) | 2018.05.02 |
[최씽씽의 역사자료실] 게르만족의 사회구조 및 경제구조 2편 (0) | 2018.04.30 |
[최씽씽의 역사자료실] 게르만족의 사회구조 및 경제구조 1편 (0) | 2018.04.29 |
[최씽씽의 역사자료실] 중세도시의 발전 2편 (0) | 2018.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