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테네 민주정치의 발달과정1
왕정에서 귀족정으로 변화
폴리스가 성립한 기원전에는 8세기에는 왕들이 사라지거나 명목상의 왕이고 실권은 귀족들에게 넘어갔다. 왕의 실권은 집정관(아르콘)에게 넘어갔고 임기가 끝난 집정관들은 헌법을 수호하는 최고 법정인 아레오파고스 재판소의 위원이된다. 이렇게 최고 귀족들은 아테네의 실권을 장악하게 된다.
폴리스의 귀족지배에 대한 동요로 식민운동이 시작된다. 권력을 장악한 귀족들과 갈등으로 시민들의 해외진출이 활발히 일어난다. 식민시와의 접촉이 많아 지면서 해상무역이 활발해지고 본토의 상공업을 발달시키게된다.
아크로폴리스
해외진출과 식민운동의 동기 |
첫째, 사회의 안정화에 따른 자연적인 인구증가 둘째, 정권을 장악한 귀족층 내부의 갈등과 분쟁 셋째, 귀족과 같은 대지주의 압박을 받은 소농 내지 빈농의 토지에 대한 갈망 넷째, 해상무역을 확대하려는 욕망 다섯째, 개척자적 모험심 |
도시의 평민들은 부의 증가와 더불어 귀족이 정치권력을 독점하고 있는 것에 불만을 품고 귀족정치에 도전하게 된다.
평민세력의 대두는 기원전 7세기전반에 중장보병 밀집대(팔랑크스)가 귀족기사들을 대신하여 전투의 중심이 되었다. 중무장은 돈많은 시민들만 할수 있었으나 귀족만이 아닌 상층 평민들도 국방의 주역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평민의 정치적 발언권이 증대될 수 밖에 없었다.
[최씽씽의 역사자료실]아테네 민주정치의 의의 (0) | 2018.04.07 |
---|---|
[최씽씽의 역사자료실]아테네 민주정치의 발달과정2/솔론 (0) | 2018.04.04 |
[최씽씽의 역사자료실]절대왕정의 구조-관료제,중상주의,왕권신수설 (0) | 2018.03.18 |
[최씽씽의 역사자료실]절대왕정의 배경과 성격 (0) | 2018.03.17 |
아테네 민주정치의 의의 (0) | 2018.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