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불교 요약정리
1. 불교 문화의 흥성
- 왕조에서 천민에 이르기까지 불교를 숭상
- 통치 이념은 유교, 사회 윤리는 불교 → 상호 보완 관계
2. 불교 보호
(1) 태조 왕건
- ‘훈요십조’: 국가의 대업이 제불의 호위와 지덕에 힘입었으니 불교를 잘 위할 것
- 비보사찰 유행: 개경의 흥왕사를 중심으로 비보 사찰이 유행하여 국가나 왕실의 부족함을 메워 줌 → 이로 인해 사찰을 다수 건립하였다.
- 불교 행사 多 → 연등회, 팔관회 : 군신이 함께하는 국가행사로 왕실의 태평을 기원
(2) 불경 간행: 대장경, 속장경, 팔만대장경 → 불교 교리 정리 뿐 아니라 국가를 보호한다는 의미를 가짐
(3) 사경사업의 활성화: 고려시대 불교 경전 발달
3. 천태종의 탄생
(1) 교종과 선종의 대립
- 고려 초에는 호족의 영향으로 선종이 크게 유행하였으나 전제군주제가 확립되어 교종이 다시 유행하게 되었다.
- 교종과 선종을 융합하려는 움직임(교선일치)
(2) 천태종의 성격
- 광종 때 크게 부각되어 광종 이후 쇠퇴하다가 의천에 의해 종파로 성립됨
- 의천은 송나라로 유학 다녀 온 후 천태종을 성립시킴
- 지관(止觀): 모든 사물을 관조하여 본질을 깨달음
- 교종 중심으로 선종을 통합코자 함: 그 불만으로 조계종이 나타남
[동네형] 2018년도 수능 한국사 문제풀이를 해보자 3번, 4번 (0) | 2018.05.08 |
---|---|
2018년도 수능 한국사 문제풀이를 해보자 1번, 2번 (0) | 2018.05.07 |
고려의 정치제도 요약 정리 및 관직 용어 정리(실직, 산직) (4) | 2018.04.17 |
[고려 사회의 성격]문벌 귀족제인가 관료제사회인가?/본관과 토성 (0) | 2018.04.12 |
[최씽씽의 역사자료실] 태조 왕건의 정책 총정리 (0) | 2018.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