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유럽의 절대주의
1.배경
동유럽에서도 서유럽과 같은 봉건적 위기가 나타났다. 즉, 생산성이 하락하면서 전염병이 돌고 귀족들 간의 전쟁이 발발했으며, 특히 봉건반동의 양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서유럽이 오랜 시일에 걸쳐서 농민반란과 도시대중반란 등으로 귀족들의 반동적인 의도가 꺾이고 부역이 소멸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던 반면, 동유럽에서는 오히려 봉건반동이 관철되어 농민은 이전보다 더 심한 예속화의 길을 걸어갔으며, 도시세력은 크게 위축되었다. 이는 서유럽에서 상업 및 도시세력이 성장하여 귀족을 견제하고 농민들을 지원해 줄 수 있었던 반면, 동유럽에서는 그렇지 못했던 사회적 역학관계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16세기에 유럽을 변화의 소용돌이에 몰아넣었던 경제적 팽창에서 동유럽은 전반적으로 소외되어 있었다. 동유럽은 여전히 장원제와 농노제의 해체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후진적인 농업지역이었다. 이러한 자본주의 발전의 미비로 말미암아 부르주아세력은 약세를 면치 못했고, 영지를 보유하고 있는 토지귀족이 사회,경제적 주도권을 장악하고 있었다.
오히려 동유럽의 절대주의는 정치, 군사적 산물로서의 성격이 더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중세 말부터 동유럽은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 휘말렸다. 트깋 17세기에 절대주의체제를 갖춘 스웨덴은 프로이센과 폴란드, 오스트리아와 러시아 등 동유럽 각국을 침입하기 시작했다. 여기서 크게 타격을 입은 동유럽의 제 국가는 이러한 팽창의 요인을 서유럽 절대주의 체제의 수립으로 파악하고 서둘러서 절대주의적인 국가구조를 수립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2. 형성
서유럽에서 절대군주가 부르주아라는 세력과 제휴하여 봉건세력을 꺾고 자신의 입지를 확립시켰는데 반하여, 동유럽의 군주들은 이러한 사회세력을 보유하지 못했다는데에 있었다. 따라서 동유럽의 군주는 강력한 세력이던 토지귀족과의 타협이 불가피했다. 이리하여 동유럽에서는 봉건적성격이 강한 절대주의체제가 수립되었다. 군주는 상비권과 관료, 그리고 징세권과 같은 절대권력의 기반을 부여받는 대신 귀족의 제반 권한들을 보장해야 했던 것이다.
그리고 봉건귀족의 경제적 기반은 전혀 손상되지 않았다. 농노제가 다시 혹립되었을 뿐만 아니라 더욱 강화되었는데 이를 재판농노제라고 한다.
또한 귀족은 절대주의체제의 수립과 함께 정치, 군사적인 지배권까지 확보할 수 있었다. 봉건귀족은 영주로서 그 지역을 관장할 수 있는 통치의 권한과 농노에 대한 재판권을 보유하고 있었다. 귀족들은 중앙의 행정관료 및 군대의 지휘관 곧 장교로 충원되었다. 봉건귀족은 중앙의 관리이며 지방자치의 장이라는 이주으이 권력을 행사하면서 사회의 엘리트로서의 자부심이 강했으며, 권위주의적인 측면이 강했다. 이들은 낙후된 사회를 발전시키고, 국가의 권위와 영광을 고무시킨다는 봉사귀족으로서의 책임감을 느끼고 있었던 거싱다. 따라서 동유럽의 절대주의체제에서는 서유럽에서와 같은 관직매매가 나타나지 않았고, 조직과 규율의 면에서 엄격했다. 분명한 서열 속에서 승진은 능력과 기여도를 중시하는 업적주의에 입각했다. 이러한 점에서 동유럽의 절대주의는 서유럽의 절대주의에 비하여 봉건적인 측면이 훨씬 더 강했고, 국왕중심적이라기 보다는 귀족관료중심적이라는 성격이 강했다.
이러한 동유럽의 절대주의체제는 전반적으로 자본주의의 발전을 저해했다. 산업화가 지연되고 중산층이 성장하지 못하여 정치, 경제적 자유화 및 민주화가 순조롭게 진행되지 못하고, 사회구조도 역시 낙후되었다. 그러나 동유럽의 절대주의는 강력한 권위주의적 규제와 효율적인 관료기구의 통제에 입각하여 서유럽에 비하여 훨씬 장기적으로 지속되었습니다.
[최씽씽의 역사자료실]카이사르의 삶 - 1 (0) | 2018.01.23 |
---|---|
백년전쟁 전개과정 (0) | 2017.08.30 |
백년전쟁 원인과 발단 (0) | 2017.08.27 |
장미전쟁 (0) | 2017.08.23 |
동유럽의 절대주의 -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러시아 (0) | 2017.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