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전쟁(Hundred Year' War, 1337~1452)
1. 백년전쟁(百年戰爭)의 원인
백년전쟁의 장기간에 걸친 싸움에는 여러 원인들이 있었다. 먼저 가장 중요한 원인이라 할 수 있는 정치적 배경으로 프랑스 영토 일부가 영국 국왕에 의해 소유되어 있다고 하는 해묵은 문제가 있었는데 1066년 노르망디공 윌리엄이 '노르만 정복'을 통하여 노르만왕조를 성립시킨 이후 프랑스 내부에 영토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14세기 초까지도 영국 국왕은 가스코뉴, 아기텐 등 비옥한 남프랑스 영토의 상당 부분을 지배하고 있었다. 그러나 프랑스는 필립 존엄왕(1180-1223) 이래 지배권을 확대·강화하고 있던 터여서 노골적으로 영국의 축출을 원하고 있었다. 다음으로는 왕위계승문제를 들 수 있는데 프랑스 카페 왕가의 계승자가 1328년에 사망하게 되자 방계 혈족인 발루아 왕가가 대신 들어서게 되었는데, 혼인 관계를 통해 카페 왕가의 후예였던 영국 국왕들이 프랑스 왕위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프랑스의 플랑드르 지방의 모직물 공업을 둘러싼 경제적 이해관계의 대립이라고 할 수 있는데 원래 플랑드르는 유럽 최대의 모직물 공업지대로서 프랑스가 종주권(宗主權)을 행사하고 있었지만 양모의 최대 공급국인 영국이 이 지방을 경제적으로 지배하고 있었다. 결국 이러한 영국과 프랑스의 플랑드르의 양모 무역에서의 경제적 이해 관계로 말미암아 영국은 프랑스의 지배에 대한 플랑드르 여러 자치 도시 시민들의 빈번한 반란에 대해 지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플랑드르에 수출해오던 양모(羊毛) 공급을 중단하였다. 이에 프랑스는 그 보복으로 당시 유럽 최대의 포도주 생산지라 할 수 있는 프랑스 내의 영국 영토인 기옌(지금의 가스코뉴) 지방의 몰수를 선언하였다. 따라서 전쟁의 근본적 원인은 위에서 이야기한 정치, 왕위계승문제 이외에 이 두 지방의 쟁탈 또한 목표였던 것이다.
2. 백년전쟁(百年戰爭)의 발단
1328년 형제가 없던 프랑스의 샤를 4세(Charles Ⅳ)가 후사가 없이 사망한 후 프랑스 공주 이사벨라의 아들이며 필립 4세의 손자가 되는 영국왕 에드워드(Edward Ⅲ), 쟌느(Jeanne de Navarre)의 남편이며 루이 10세의 사위가 되는 필립 데브루(Philippe d'Evreux) 그리고 필립 3세의 손자인 필립 드 발로아(Philippe de Valois)등 3명의 후보자가 왕위를 요구하면서 영불간의 문제가 시작되었는데, 당시 프랑스에서는 프랑스인 국왕을 원하는 이유로 인하여 세 사람 중에서 선왕의 사촌에 불과한 필립 드 발로아가 승리하였다. 당시 프랑스 삼부회와 법률가들은 이 선정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여자는 왕위를 계승할 수도 전달할 수도 없다’는 프랑크족의 고법인 살리크 법전을 원용하였으나 살리크 법전은 구실에 불과하였으며 중요한 이유로는 프랑스 사람을 원하여 프랑스에서 출생하지 않은 나바르 필립과 에드워드를 기피한 것이 그 이유였다. 이리하여 까페 직계 왕조는 끝나고 발로아 왕조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오랫동안 계승된 정치 경험을 가진 까페 왕조와는 달리 초대 발로아 왕조의 왕인 필립 6세(Philippe Ⅵ)는 봉건적인 위신에만 주의를 기울이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젊은 영국왕 에드워드 3세는 발로아의 왕위계승을 승인한다는 어려운 현실을 받아들였으며 귀엔느 영지를 위하여 신도(臣徒)의 선서까지도 이행했다. 하지만 이러한 승인은 표면적인 것에 불과하였으며 현실적으로는 근대적 장비와 병력의 증강의 준비를 서둘렀다. 또한 프랑스의 봉건 귀족의 기마대의 공격을 분쇄할 필요성을 느끼면서 석궁(石弓)과 사수(射手)에 의존하는 새로운 전술을 채택하였으며 노인과 불구자를 제외한 모든 국민에게 장궁 사술을 유일한 스포츠로 권장하고 40실링 이상의 수입이 있는 토지 소유자에게 활과 화살을 상비할 것을 법으로 규정함으로써 용병의 모집을 용이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에드워드 3세는 전 유럽에서 제일 근대적인 군비를 갖추는 국가를 형성시키게 되었다.
[최씽씽의 역사자료실]카이사르의 삶 - 1 (0) | 2018.01.23 |
---|---|
백년전쟁 전개과정 (0) | 2017.08.30 |
장미전쟁 (0) | 2017.08.23 |
동유럽의 절대주의 -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러시아 (0) | 2017.08.22 |
동유럽의 절대주의 배경과 형성 (0) | 2017.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