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씽씽의 역사자료실


교육제도의 변천

1. 초기

- 인종 때는 京師六學(경사육학)이라 하여 여섯 개의 단과대학으로 나뉨

국자학, 태학, 사문학, 율학, 서학, 산학


(1) 경사육학

국자학, 태학, 사문학을 경학이라 일컫고 각각 3, 5, 7품으로 한계를 두었다. 국학 태학 사문학의 인원이 각각 300명이라고 전해지지만 합해서 300명일 것으로 파악된다.

율학, 서학, 산학은 기술 분야로 8품 이하의 관리나 일반 서민 자제가 응시할 수 있었다. 율학은 40, 서학과 산학은 각각 15명 내외였다.

- 율학: , - 서학: 速記者(속기자) - 산학: 조세 담당, 토지 측량시에 이용


(2) 교육과정

- 효경과 논어는 필수과목으로서 1년간 배우고, 상서와 공양전 중 택일하여 2년 배우고, 주역과를 택일하여 26개월, 예기춘추좌전 중 택일하여 3

- 국자감에 3년동안 재학하면 과거 응시자격 주어짐

-초기 교육제도의 변천은 당나라를 따라한 과도기 격이다.


2. 고려 중기

(1) 사학의 융성으로 숙종대에 가서 국학 폐지론이 대두하기까지 함(11세기 초엽)

(2) 사학 융성의 배경

- 최충이 관직 은퇴 후, 학원을 차림 9재 학당

- 문헌공(최충)의 무리다 문헌공도


- 최충 이후로 고위관직자들이 은퇴 후 사학을 차림 12公徒

최충: 장원급제하여 재상직에 23년동안 재직함. 문하시중을 9년 하고 지공거를 역임했다.

-고려 중기의 교육제도의 변천은 초기 과도기를 넘어 자리를 잡아 사학을 중심으로 교육이 활성화 된다.

 

3. 관학 진흥책 - 국가 교육제도의 변천

- 사학의 발달에 따른 관학의 쇠퇴

(1) 칠재(七齊): 7개의 전문강좌

- 주역을 전문적으로 가르치던 여택제, 상서를 강의하던 대빙제, 모시의 경적재 주례의 구인재, 대례의 복응재, 춘추의 양정재 등 6재와 병학(兵學)을 강의하던 강예재(講藝齋) 강예제는 무학을 가르친 것이 특징이지만 곧 사라짐


(2) 양현고(養賢庫): 국학에 입학한 학생들 중 공부를 잘하면 장학금을 지급

(3) 도서관 설치: 개경의 비서원, 서경의 수서원

(4) 지방의 향리자제를 향교에서 교육

향교의 정확한 설립을 알 수는 없으나 성종 대로 추정된다.


- 인종 5년에 諸州入學以廣敎: 향교는 인종 20년에 사료에 처음으로 나타남

- 조선 시대 향리교육 담당이 아니라 敎學奉社(교학봉사)의 기능을 지님 명륜당

- 향교는 강당과 사당을 구분

- 향교 입학은 8품 이하의 관리나 일반 서민자제도 입학 가능했지만 향교의 목적 자체가 과거 응시에 있기 때문에 대부분이 향리였을 것으로 보인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