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씽씽의 역사자료실

차티스트 운동의 배경 - 산업혁명,노동운동



1.산업혁명


18세기 말 프랑스에서 일어난 시민혁명과 더불어 유럽에서 발생한 중요한 변혁은 영국에서 가장 두드러졌던 산업혁명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산업혁명이 최초로 일어난 곳은 영국이었고, 영국 경제는 풍요라는 측면에서 보면 다른 어느 나라보다도 발전해 있었다. 이러한 산업혁명은 프랑스혁명과 함께 유럽의 근대사회확립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산업혁명은 가내 수공업을 대신하여 공장제 기계공업을 등장시켜 자본주의를 완성시키는 동시에 대량생산의 길을 열었으며, 자본가와 임금노동자라는 사회계층이 형성되었고 이 사이에 광범위한 중산층이 형성되기도 하였다. 이외에 급격한 인구증가와 도시로의 인구집중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산업혁명이 많은 사람들에게 혜택보다는 오히려 고통을 가져다주었다고 볼 수 있다. 산업혁명 초기에 당시 영국의 고용주들의 노동자 착취는 심각한 수준이었고, 이로 인해 노동자들의 생활은 결코 양호한 것이 아니었다.



산업혁명은 영국을 근대사회로 나아가는데 중요한 기점이 되었음은 틀림없으나 산업혁명에서의 부작용, 특히 노동잘들의 비참한 생활은 결국 노동자들의 불만과 저항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했고 이러한 과정에서 1830년대에 차티스트 운동이 전개되었던 것이다.




2. 노동운동의 전개



차티스트 운동은 18세기 후반 산업혁명의 전개와 영국 공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한 영국 노동자들의 빈궁과 착취의 상태는 필연적으로 이들의 저항을 불러 일으키게 되었다



이들은 초기 상호부조 혹은 공제조합이라는 현태로 노동운동을 전개해 나아갔는데, 이는 노동자가 단결하여 자신들의 힘으로 자본주의하에서 최대의 문제인 실업, 질병, 산업재해, 노후문제 등 노동자의 수입을 중단시키는 상황으로부터 노동자를 보호하려는 방법으로 크게 효과적이지는 않았지만 기본적인 노동운동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이들은 당시 격렬한 행동을 하지 않고 정치적으로 노동자의 입장을 표명하는 방법으로 정부에 청원서를 제출하는 방법뿐이었다. 



당시 이들 노동자와 지방 농업 노동자에게는 자신들의 문제를 의회에 제기하여 해결할 수 있는 선거권이 없었고 이에 따라 이들의 불만은 점점 가중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노동자 계급은 이러한 청원서 제출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1802년 최초의 공장법과 여러 종류의 법률을 1819, 1829년, 1833년에 계속해서 획득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산업혁명 초기에 노동자가 전개한 운동 중 하나는 경제적 협동조합이었다. 이는 노동자가 스스로 자신들의 경제조직을 만들어내 자본가의 착취의 전부 또는 일부를 피하려는 시도였다. 



노동자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노동운동을 전개해 나갔으나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정부의 반응도 냉담하였다. 그리하여 노동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이전의 방법보다 훨씬 공격적인 노동운동을 택했으며, 이것이 1811년부터 시작된 러다이트운동, 즉 기계파괴운동이었다. 




그러나 러다이트운동은 정부의 박해로 인해 실패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기계를 파괴해서는 안 되며 오히려 기계의 소유권을 확보해야한다는 것을 인식하여 이를 위한 파업과 노동조합운동을 전개해 나가게 되었다. 이후 노동자의 선거권 획들을 위한 노동운동인 차티스트 운동이 전개되었던 것이다.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