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 개혁운동과 성직 서임권 투쟁
먼 과거에 멀리떨어진 서양에서 교회 개혁운동이 일어난 사실을 아시나요? 혹은 성직 서임권 투쟁이라고 들어보셨나요? 많은 사람들이 교회를 다니는데 교회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혹은 교황이나 추기경은 언제 제도화 되었을까? 라는 궁금증이 들지 않나요?
이번 포스팅은 저번 포스팅에 이어 계속 써보겠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교회조직의 발생과 교황 제도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그 기원에 대해 알아보았다. 저번 포스팅을 안보신 분은 아래를 통해 볼 수 있다.
중세에 교황권이 세속군주 위에 군림할 뿐 아니라, 막강한 경제력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은 민족이동과 서로마제국의 몰락으로 조성된 혼란과 무질서 상태라는 중세 초기의 역사적 상황과 지방분권적인 봉건사회의 구조와 깊은 관련이 있다. 그래서 교회 개혁운동은 필연적으로 일어날 수 밖에 없었다.
교황 레오 3세는 논쟁의 여지가 있던 자신의 권력을 확고히 할 의도로, 전임 교황들처럼 프랑크왕국의 카롤링거 왕조와 정치적 동맹관계를 계속 이어 나갔다. 덕분에 로마 귀족들이 위증죄를 들어 쳐들어와서 그를 감금하려 했을 때, 그는 샤를마뉴 황제를 만나 도움을 청하고 피신할 수 있었다.
교회 개혁운동의 첫 단추인 샤를마누 대제는 800년에 군대를 이끌고 로마를 방문하여 교황을 복귀시킨 후,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공의회를 소집했다. 결국 "사도좌는 그 누구도 심판할 수 없다." 는 결과를 얻었고, 12월 23일 샤를마뉴는 교황에게 순결서약을 시키고, 12월 25일날 로마인의 황제로 즉위하였다. 이로써 교황은 황제를 축성할 권리를 획득하였고 황제는 교황의 축성을 통해 교회 전체를 간서발 수 있는 권리를 누리게 되었다. 실제로 그는 스스로를 '교회의 수장'이자 '하느님의 심부름꾼'이라고 불렀다.
샤를마뉴 대제
카롤링거 왕조 시기에 이처럼 교회와 황제권은 서로의 필요에 의하여 적절히 협력하는 관계였다. 군사력이 없는 교황은 황제의 보호를 받음으로써 권좌를 지킬 수 있었고, 유럽이 기독교 국가로 성장하는 과정에서 황제는 교황의 인정을 받음으로써 명분과 지지를 얻을 수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관계는 곧 흔들리게 되어 있었다. 하늘에 태양이 둘일 수 없듯이, 서로 수위권을 주장하는 황제와 교황은 대립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것은 곧 성직 서임권 문제로 이어지게되었다.
중세 서유럽의 교황권은 11세기에 교황 그레고리우스 7세와 신성로마제국 황제 하인리히 4세의 본격적인 대립 과정에서 하인리히 4세가 굴볼하는 사건을 계기로 정점에 오르게 된다. 최씽씽의 역사자료실ceaser5712.tistory.com
10세기 서방의 교회제도가 크게 타락하고 부패가 만연하자 수도원과 평신도들 사이에서 개혁의 물결이 일어났다. 교회 개혁운동이 시작된 것이다. 사제들의 타락을 비판하고 세속과 분리된 순수한 영역으로서의 카톨릭교를 추구하는 이러한 개혁운동은 11세기 중엽 교황청의 국제적 개혁 운동으로 합쳐졌다.
그레고리우스 7세(1073~1085)는 클루니 수도원 출신의 힐데브란트라는 인물이었다. 그는 교황 취임을 원하지 않았으나 조건을 내걸고 허락하였다. 그것은 바로 "교황 이외의 누구도 클루니 수도원에 간섭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이것은 그 이전까지 수도원이 그 지역의 세속권에 간섭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황이 된 그레고리우스 7세는 클루니 수도원의 개혁 정신을 실천하였고 특히 교황의 수위권을 강조하였다.
그레고리우스 7세
그리하여 성직매매나 성직자의 혼인, 교회 내의 모든 부도덕을 금하고 교황 선출에 대한 법령을 공표하였다. 이제 교황 지명권은 오직 추기겨들에게만 주어지도록 하고 추기경단으로 하여금 주요 행정 업무를 담당하게 하고 교황직의 공백기에 정책이 차질없이 수행되도록 하였다.
그는 국왕과 황제에 대한 교황의 우위를 주장하면서 "속인에 의한 서임식" 즉 세속적 지배자가 성직자에게 직장를 수여하던 의식을 반대하는 법령을 시행하고자 하였다. 밀라노의 성직 서임권 문제로 세속권력과 극심한 갈등을 경험한 그레고리우스 7세는 성직 서임권 법령인 '교황법령'을 제정하여 1057년 라테란 공의회에서 정식으로 통과시켰다. 이로써 성직 서임권은 명백한 교황의 권한으로 법제화되었다.
이렇게 성직 서임권을 둘러싼 교회 개혁운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 포스팅은 이 글에 이어서 카노사의 굴욕과 보름스 협약에 대해 정리해보도록 하겠다.
다른 사람들이 흥미있게 읽은 글
유럽연합 - EEC, EC, EU 변천과정 정리 (0) | 2018.07.05 |
---|---|
유럽연합의 역사 /OEEC/OECD/ECSC/EURATOM (0) | 2018.07.04 |
교회 조직의 발생과 교황 제도의 성립 정리 (0) | 2018.06.20 |
프랑스 혁명의 결과 및 의의 (0) | 2018.06.19 |
프랑스 혁명 국민공회와 공포정치 완벽정리 (0) | 2018.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