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혁명의 결과 및 의의
프랑스 혁명은 일시적인 충격을 넘어, 확고한 성과를 남겼다. 여러 ' 혁명 문서'가 그것이다. 그 결과 여러 차이점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권선언과 세헌법 91헌법 93헌법 95헌법은 새로운 프랑스의 운영원리를 제시했다.
.
.
프랑스혁명의 결과 만들어진 삼색기는 자유, 평등, 박애를 의미한다. 프랑스 혁명을 통해 자유와 평등을 깨달았고 그것을 쟁취하였다.
외부의 군대를 물리쳤을때 프랑스인의 마음속에 민족성 동질성을 의식하고 국민적 유대관계가 형성되었다.
이제 자유, 평등, 민족의식은 국민의 마음속에서 벗어나 성문법으로 표기되면서 유럽적 실체의 중심에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의 결과로 사회적 관계나 생산구조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단지 동업조합 폐지만 있을뿐이고 다른 구조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프랑스는 토지재산에대해 지주의 영향력이 막강하였으므로 여전히 부르주아들은 농촌이나 시골에서 전과 다름없는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영국과 달리 프랑스는 산업혁명에서 시간적 지체를 보여준다. 하지만 프랑스 혁명을 통해 상업자본이 자본주의로의 이행과정에서 진보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겠다.
프랑스 혁명은 계급투쟁이 갖는 극단적인 성격으로 말미암아 앞선 여러 혁명을 능가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는 특권계급이 봉건적 특권에 사로자벼 모든 양보를 거부한 것과 맞물려 혁명 부르주아가 대내외적인 반혁명세력에 맞서 민중과 연대할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프랑스 혁명은 자연권에 호소하는 보편적 자유의 혁명이었을 뿐만 아니라 시민적 평등을 넘어선 평등 이념을 제기할 수 있었다. 평등 없는 자유란 소수의 특권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프랑스 혁명 결과 어떻게 하면 자유를 상실하지 않고 평등을 실현할 것인가 하는 이상을 제시하고 실험했다. 이 점에서 프랑스 혁명은 인류사의 본보기로서의 가치와 의의를 갖는다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 사례에서 보자면, 입법의회 의원들이 1791년 헌법과 혁명력 3년 헌법을 통해 제시한 길은 대의제에 입각한 자유주의였다. 그러나 자유와 평등의 상보적 관계로 말미암아 여려가지 문제가 생긴다.
특히 재산권의 문제에서 그러하다. 그리하여 자코뱅파의 국민공회는 대내외적인 위협을 극복하기 위해 민중과 결합하여 그들의 요구를 받아들이고, 1793년의 헌법과 여러가지 조치들을 통해 사회민주주의적 길을 제시하였던 것이다. 이것은 프랑스 혁명이 부르주아 혁명의 단계를 넘어선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다른 사람들이 흥미있게 읽은 글
교회 개혁운동과 성직 서임권 투쟁 정리 (0) | 2018.06.21 |
---|---|
교회 조직의 발생과 교황 제도의 성립 정리 (0) | 2018.06.20 |
프랑스 혁명 국민공회와 공포정치 완벽정리 (0) | 2018.06.18 |
펠로폰네소스 전쟁의 배경 정리 (0) | 2018.06.06 |
프랑스 혁명 정리 - 2. 혁명의 시작 part2 국민의회 (0) | 2018.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