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족의 개념
(1) 정의: 신라말 지방의 경제적ㆍ정치적ㆍ군사적인 재지 세력으로 용어상으로 ‘호족’이란 말이 많이 보이지는 않는다.
- 비판: 호족은 지방사회의 혈족을 이끄는 수장으로 보기 어렵다.
(2) 개념
- 그 세력기반은 왕경(경주)이 아닌 지방이었다.
- 군사적으로 사병을 거느리고 정신적으로 선종과 풍수지리 사상을 수용하였다
(3) 호족 출신
대표적 호족 궁예
① 촌주: 신라 최하위의 말단 지배층
cf. 군ㆍ현의 장은 국가에서 파견하지만, 촌주는 아니었다.
중앙관등과는 별개의 관등이었으나 촌주 역시 등급이 있었던 걸로 보인다.
※村의 종류
- 자연촌
- 행정촌: 자연촌을 몇 개씩 묶어 행정에 편리하게 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촌주가 지휘
→ 일정한 영역을 반독자적으로 지배했다
② 해상세력: 해상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ex: 장보고, 왕건도 송악의 해상세력으로 추정)
③ 군진(軍鎭)세력: 군사적 특수지역에 설치한 특별구역(鎭) → 후기 해상무역의 발달로 주로 해안가에 둠(ex: 청해진, 당성진, 패강진, 혈구진)
④ 성주ㆍ장군: 자칭하여 성주ㆍ장군이라 일컬을 가능성이 많음
⑤ 낙향한 중앙 귀족: 대표적인 인물이 왕순식
⇒ 호족의 출신 성분이 매우 다양했다.
(3) 호족의 문화
① 풍수지리설: 자신의 지방이 중심임을 증명해주는 수단으로 이용하였다. → 이 사회의 주인공임을 입증
② 선종: 종래의 왕족 중심의 불교인 교종은 왕권을 뒷받침하는 데 이용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세력이 등장하면서 새로운 세력을 뒷받침할 사상적인 배경이 필요해진 것이다.
고려시대 과거제도 정리 (0) | 2018.03.27 |
---|---|
[최씽씽의 역사자료실] 고려시대 특징 (0) | 2018.03.25 |
[최씽씽의 역사자료실]사초와 실록의 열람 (0) | 2018.03.21 |
[최씽씽의 역사자료실]조선왕조실록의 편찬방식 (0) | 2018.03.20 |
[최씽씽의 역사자료실]조선왕조실록의 편찬 (0) | 2018.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