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같은 부르봉 왕조의 개혁은 일시적으로 식민지에 대한 스페인의 지배력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지만 결과적으로는 스페인이 스스로 자기 무덤을 파는 격과 같았다. 왜냐하면 끄리오요들을 약화하고자 한 부르봉 왕조의 개혁은 이미 식민사회의 토착 엘리트로서 기반을 다진 끄리오요들의 강한 반발과 저항심을 불러 일으키면서 이들로 하여금 식민모국인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의 필요성을 자각하게 했기 때문이다. 즉 부르봉 왕조의 개혁은 중남미에 독립정신의 씨앗을 심어준 결과를 초래한 것이었다. 따라서 19세기초에 일어난 중남미 독립운동의 근본적인 모티브는 18세기 후반에 부르봉 왕조가 꾀했던 식민지통치의 재무장정책에 대한 끄리오요들의 저항의식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이다. 그 후 끄리오요들은 미국독립운동과 프랑스 혁명의 정신으로부터 중남미 독립의 필요성에 대한 지적 및 이론적 정당성을 확보하면서 독립의 기치를 키워 나가게 된다.
한편 영국은 중남미의 식민지가 독립함으로써 새로운 시장이 개척되는 것을 환영하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간섭을 반대하였다. 뿐만아니라 이러한 영국의 태도에 힘입은 미국의 먼로 대통령(1817~1825)은 1823년 의회에 보낸 교서에서 이른바 먼로주의를 선언하였다. 내용은 유럽국가에 의한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간섭을 배격하고, 미국도 유럽에 간섭하지 않을 것이며,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새로운 식민지건설에 반대한다는 것이었다. 강력한 해군력을 가진 영국의 반대를 무릅쓰고 대서양 건너 라틴아메리카에 간섭한다는 것은 위험하고 성공의 가능성이 희박하였기 때문에 메테르니히도 이를 단념하였다.
아테네 민주정치의 의의 (0) | 2018.03.15 |
---|---|
먼로선언 (0) | 2018.03.14 |
라틴아메리카의 독립-1 (0) | 2018.03.12 |
[최씽씽의 역사이야기]실존주의 교육의 특징 2 (0) | 2018.03.11 |
[최씽씽의 역사이야기]실존주의 교육의 특징 1 (0) | 2018.03.10 |